카테고리 없음

추석 문여는 병원 약국 찾기

호또22 2025. 10. 2. 12:20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매년 설·추석 연휴 기간 동안 비상의료체계를 운영해 국민들이 불편 없이 진료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추석 연휴는 10월 3일부터 9일까지 무려 7일간 이어지기 때문에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한 대책이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연휴 중 병원·약국 찾는 방법

연휴에 문을 여는 병원·약국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가장 간편하고 정확한 방법은 E-GEN(이젠) 통합 홈페이지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E-GEN 홈페이지(응급의료포털) 

 

* 보건복지부와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운영하는 공식 사이트
* ‘명절 연휴 진료기관 안내’ 메뉴에서 내 주변 병·의원 및 약국 검색 가능
* 응급실 운영 여부, 진료 시간, 위치, 전화번호까지 한눈에 확인

 

명절 연휴 문여는 병원 검색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스마트폰 활용
* E-GEN 모바일 웹 접속

* 네이버, 카카오 지도에서 ‘연휴 병원’, ‘연휴 약국’ 검색 시 연결 가능
* 응급환자의 경우 119 상황실에 문의하면 가장 가까운 응급실 안내 가능


👉 팁: 연휴 전 미리 확인하고 위치를 저장해두면 실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전국 비상의료체계 운영 현황

올해 추석 연휴에는 응급환자와 경증환자가 모두 진료받을 수 있도록 전국적으로 병원·약국이 비상 운영에 들어갑니다.

 

 

 

또한 일부 보건소와 시립병원도 연휴 기간 비상진료를 이어가며, 응급 상황 대응 공백을 최소화합니다.

 

서울
서울대병원 등 권역·지역응급센터 31곳
지역응급의료기관 18곳
응급실 운영 병원 21곳
총 70개 의료기관이 24시간 운영
하루 평균 2750여 곳(병의원 1260곳, 약국 1490곳)이 문을 열어 경증 환자도 불편 없이 진료 가능

 

강릉시
강릉아산병원, 강릉의료원, 강릉동인병원, 강릉고려병원 등 종합병원 4곳 24시간 운영
병의원 151곳, 약국 193곳 추가 운영

 

기타 지역
경남 양산시·밀양시, 대구시, 충남 예산군 등도 지자체별 비상 진료체계를 구축
소아환자, 고위험 산모, 신생아 전용 진료 병원과 긴급 핫라인까지 마련

 

 

꼭 알아둘 이용 팁과 유의사항

연휴 동안 병원·약국을 찾을 때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증상에 따라 내원 장소 구분
가벼운 감기, 소화불량 등은 연휴 운영 병·의원에서 진료 가능
호흡곤란, 의식 소실, 심한 출혈 등은 반드시 24시간 응급실로 이동해야 함


약국 확인 필수
병원 진료를 받아도 약국이 문을 닫았다면 약을 구할 수 없음
반드시 병원 근처 약국 운영 여부까지 함께 확인


지자체 안내 활용
각 시·도청 및 보건소 홈페이지에도 ‘연휴 진료 안내’ 공지 제공
특히 시골 지역은 지자체 안내문이 더 정확할 수 있음


긴급전화 활용
☎ 119: 응급환자 이송 및 가까운 응급실 안내
☎ 129: 보건복지부 상담센터
☎ 120: 지방자치단체 콜센터(서울의 경우 ‘다산콜센터’)

 

 

명절 전 미리 준비하면 좋은 것들

* 평소 복용 중인 만성질환 약(혈압·당뇨약 등)은 연휴 전에 미리 처방받아 두기
* 아이가 자주 앓는 해열제·소화제·진통제를 집에 상비약으로 구비
* 고령자·임산부·영유아가 있는 가정은 가까운 응급실 위치 미리 확인
* 자동차 내비게이션에 24시간 응급병원 주소 입력해두기


이렇게 준비해 두면 연휴 중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훨씬 여유 있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추석 연휴에도 모든 병원이 문을 여나요?
A1. 아닙니다. 대부분의 동네 병·의원은 휴무지만, 정부 지정 응급의료기관과 지자체 지정 당번 병·의원·약국이 운영됩니다.


Q2. 우리 동네 연휴 운영 병원은 어떻게 찾을 수 있나요?
A2. E-GEN 응급의료포털에서 지역명을 입력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Q3. 응급실은 언제든 이용 가능한가요?
A3. 네, 권역·지역응급센터와 응급실 운영 병원은 연중무휴 24시간 운영합니다.


Q4. 소아 환자 진료도 가능한가요?
A4. 일부 병원은 소아전용 진료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자체별 안내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5.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바로 119를 불러도 되나요?
A5. 네, 119는 연휴에도 정상 운영되며 환자 이송 및 가까운 응급실 연결을 도와줍니다.

 

 


추석 연휴는 의료 공백이 생기기 쉬운 시기이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비상 대책 덕분에 응급환자와 일반 환자 모두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특히 E-GEN 홈페이지를 활용하면 내 주변에서 문을 여는 병원과 약국을 쉽게 찾을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 올 추석 연휴에도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응급실 위치, 약국 운영 여부, 긴급전화 번호를 꼭 알아두시길 권장합니다.